옛날 시/한국시
(한국 한시) 몽유광상산시서(夢遊廣桑山詩序) / 이조 중기 여류시인 허초희(1563-1590)
밝은하늘孤舟獨釣
2016. 1. 20. 19:17
출처: 이호석 님의 스토리펀딩 <옛날이야기지만 현재가 비칩니다> 제2화 <조선 여성의 재능은 축복 아닌 재앙이었다>
몽유광상산시서(夢遊廣桑山詩序) / 이조 중기 여류시인 허초희(1563-1590)
몽유광상산시서(=꿈에 광상산에 놀러가 지은 시/밝은 하늘의 해석)
碧海侵瑤海(벽해침요해): 푸른 바닷물 구슬 바다에 스며들고
靑鸞椅彩鸞(청난의채난): 푸는 난새가 채색 난새와 어울리는 듯 하네
芙蓉三九朶(부용삼구타): 스물일곱 송이 아름다운 연꽃 늘어져
紅墮月霜寒(홍타월상한): 달빛 찬 서리에 붉게 떨어지도다
** 단어 설명 **
1) 碧海: 깊고 푸른 바다
2) 鸞: 1. 난새(鸞-: 중국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새) 2. 방울 3. 지붕의 무게를 버티도록 기둥 위에 설치한 구조
3) 芙蓉: ①연꽃 ②목부용(木芙蓉) ③부용장(芙蓉帳)
4) 三九: ①삼공(三公)과 구경(九卿)을 아울러 일컫는 말 ②구(韮)와 구(九)의 음(音)이 통(通)한 데서 온 말로, 부추로 만든 세 가지의 반찬(飯饌). 곧 청빈(淸貧)함의 비유(比喩ㆍ譬喩)
5) 朶: 늘어질 타 1. 늘어지다 2. 나뭇가지가 휘휘 늘어지다 3. 움직이다, 흔들다 4. 가지에서 휘늘어진 꽃송이 5. 귓불(귓바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