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 February 2016
- China
-
(중국/홍콩) 홍콩시민들 방송자막이 기존 번자체에서 대륙용 간자체로 바뀐 것에 분노국제문제/중국 2016. 2. 25. 15:06
출처: http://www.bbc.com/news/world-asia-china-35647861
Hong Kong outrage over Chinese subtitle switch 홍콩 시민들 중국어 자막변경에 분노하다
Getty Images
TVB, whose mascot is seen here outside its building in Hong Kong, is the city's largest broadcaster Hong Kong officials received more than 10,000 complaints in three days after a popular TV programme began subtitling output in the Chinese characters associated with mainland China. (subtitle: 명사로 자막, 동사로 자막을 달다, 자막처리 하다.) (output: 출력)
Hong Kong uses traditional Chinese script as opposed to the mainland's simplified characters. 홍콩이 번자체를 쓰는 이유는 중국대륙을 싫어하기 때문.
The broadcaster, TVB, defended the move, saying Hong Kong is an international city. (broadcaster: 방송인, 방송사, 방송국)
The city has seen tensions over the perceived growing influence of Beijing. 북경당국의 홍콩에 대한 날이 갈 수록 정치적 영향력이 커지는 현실에 대한 우려 섞인 인식에서 비롯된 긴장이 홍콩에서 느껴진다.
The communications regulator said the complaints pertained to TVB's daily 40-minute Mandarin-language evening news programme. (communications regulator: 통신 단속/감독기관) (pertain to sb/sth: ~와 관련되다)
"This new arrangement will offer our viewers more choice and better serve different audience needs," a spokesman said in a statement.
A commentary on the matter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mouthpiece People's Daily called on Hong Kong to "not be so overly sensitive towards simplified script". (mouthpiece: 대변자, 여기선 기관지. Peoples Daily: 인밀일보를 지칭함. call on~: ~을 요청하다. to not be ~: 이 구문은 not to be로 해야 정상임. 기사 작성자의 실수(?)로 보임. to not be so overly sensitive towards~: ~에 대해 과민반응 보이지 마라) (simplified script: 간자체)
"Bringing political implications into this fight over traditional and simplified script, and contaminating it with hostile feelings, only creates an inexplicable rivalry," it added. (inexplicable: 설명할 수 없는, 납득할 수 없는. rivalry: 경쟁, 싸움)
China News / People's Daily
Mainland media ran the People's Daily commentary with a cartoon of people writing in simplified and traditional script Juliana Liu, BBC News, Hong Kong
There is perhaps no issue more integral to the identity of Hong Kong people than their use of the Chinese language: spoken Cantonese with traditional written characters.
That's why a move to change the written script used in a prime-time news bulletin, even if it is a Mandarin-language programme, has caused so much anger. (prime-time: 골든아워, 중요시간대)
Pro-democracy lawmaker Claudia Mo has written a protest letter to TVB. She admits the broadcaster hasn't violated any rules. 방송사는 어떤 규정도 위반하지는 않았다.
But she says the move is part of an obvious plan to turn Hong Kong into a mainland Chinese city. 번자체에서 간자체로의 임의적 전환은 홍콩을 중국대륙의 일개 도시로 변입시키려는 계획의 일부이다.
"If you want to kill a city, the first thing you do is to kill the language," she tells me. 일개 도시를 파괴하고자 하면, 첫째로 할일은 그 도시의 언어를 파괴하는 것이다.
She and other political activists believe if they do not protest the decision now, other television programmes may be next. 이번 결정에 저항하지 않는다면, 다른 방송 프로그램도 간자체로 전환될 것이다.
The move comes amid growing tensions in the city, which saw widespread pro-democracy protests in 2014, over growing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 from mainland China.
Earlier this month violence erupted in the city's working-class neighbourhood of Mong Kok when authorities tried to clear illegal food hawkers, who are seen as an integral part of local culture. (hawker: 행상)
AP
Protesters lit fires on the roads during the Mong Kok clashes Several activists associated with the city's so-called localist movement have been arrested and charged with rioting this year. (localist: 자신이 사는 지역의 발전과 번영을 위해 활동하는 운동가, 즉 지역주의자)
The movement champions greater autonomy for Hong Kong and protection against the perceived dilution of the city's identity. (champion: 동사로 어떤 신념이나 가치를 위해 싸우다 투쟁하다는 뜻. autonomy: 자율성, 자치권)
** 기사 요약 및 소감 **
1. 홍콩의 모 방송사가 중국대륙에서 쓰는 번자체 자막을 내보냈는데, 시청자 1만명으로부터 항의를 받았다는 내용이다.
2. 홍콩이 본래 번자체를 고집하고 사용하는 이유는 중국대륙(=정치체제인 공산주의)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3. 자막이 번자체에서 간자체로 바뀐 것은 기사에서 나오다시피 북경당국의 영향력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대륙에서는 부인하지만 실제론 political implications가 숨어있는 거 같다. 만일 정말 그들이 그런 속셈이 없다면, 왜 굳이 홍콩주민들이 싫어하는 짓을 하도록 하겠는가? 말이 안 되는 변명이다. 이런 얘기까지하면 뭐하지만, 세계 어느 나라나, 정치인들은 이런 식의 그럴싸한 그러나 속이 뻔히 들여다보이는 어리석은 변명으로 자국민들을 갖고 논다. 그래서 우리는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4. 그리고 해당 방송사에서 번자체에서 간자체로 바뀐게 무슨 큰 문제냐 라고 하는데, 그건 문제의 본질을 가리는 어리석은 변명일 뿐이다.
5. 그 방송사의 간자체 방송은 일종의 방송장악의 신호탄이다. 그래서 타방송사들도 따라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저항해야 한다고, 민주주의 옹호 의원 Claudia Mo는 역설하는 것이다.
6. 이렇게 홍콩 사람들이 중국대륙의 정치적 입김을 싫어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그들이 그 동안 누려왔던 자율성의 침해다. 한국의 현재상황도 여러 면에서 별 말도 안 되는 이유를 들어 시민의 자율성이 많이 침해를 당하고 있다. 문제다. 그리고 그런 이유들은 진짜 말도 안 되는 것들이다.
'국제문제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中國 바이두(百度) 앱에서 개인정보 유출 (0) 2016.02.29 (중국) 중국당국 습진평 주석 비판한 런 즈치앙(任志強)의 블로그 봉쇄 (0) 2016.02.29 (중국) 중국에만 있는 여성전용 이슬람 사원 (0) 2016.02.24 (중국) 중국 공산당원의 결혼식과 장례식에 대한 새로운 지침 (0) 2016.02.19 (중국) 중국인 아들의 큰 절과 어른 공경에 대한 논쟁 (0) 2016.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