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부러진 길 - 이준관 시인(1949-)현대시/한국시 2022. 1. 28. 16:23
<월간독자 22년2월호>에 실린 시이다. 내용이 괜찮아서 인터넷을 검색해 보았다.
구부러진 길 – 이준관(1949-)
나는 구부러진 길이 좋다
구부러진 길을 가면
나비의 밥그릇 같은 민들레를 만날 수 있고
감자를 심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
날이 저물면 울타리 너머로 밥 먹으라고 부르는
어머니의 목소리도 들을 수 있다
구부러진 하천에 물고기가 많이 모여 살 듯이
들꽃도 많이 피고
별도 많이 뜨는 구부러진 길
구부러진 길은 산을 품고 마을을 품고
구불구불 간다
그 구부러진 길처럼 살아온 사람이 나는 또한 좋다
반듯한 길 쉽게 살아온 사람보다
흙투성이 감자처럼 울퉁불퉁 살아온 사람의
구불구불 구부러진 삶이 좋다
구부러진 주름살에 가족을 품고 이웃을 품고 가는
구부러진 길 같은 사람이 좋다
시인 소개
이준관(1949년 10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49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났다.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동시로, 1974년 ≪심상≫ 신인상에 시로 당선했다. 펴낸 책으로 동시집 ≪크레파스화≫, ≪씀바귀꽃≫, ≪우리나라 아이들이 좋아서≫, ≪3학년을 위한 동시≫, ≪내가 채송화꽃처럼 조그마했을 때≫, ≪쑥쑥≫, 시집 ≪황야≫, ≪가을 떡갈나무 숲≫, ≪열 손가락에 달을 달고≫, ≪부엌의 불빛≫, ≪천국의 계단≫ 등이 있다. 창주아동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방정환문학상, 소천아동문학상, 펜문학상, 어효선아동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영랑시문학상을 받았다. 한국아동문학인협회 부회장과 한국동시문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대시 > 한국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詩) 숲 - 정희성 시인 (0) 2022.04.02 꽃 - 손민익 (0) 2022.02.18 휴대폰 - 오세영 시인 (0) 2022.01.20 (詩) 지루함 - 조병화 시인(1921-2003) (0) 2022.01.12 그대 생각 – 고정희 시인(1948-1991) (0) 202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