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밀물 - 정끝별 시인(1964-)현대시/한국시 2022. 8. 4. 01:11
링크 주소: https://www.joongang.co.kr/article/4077975#home
[시가있는 아침] 정끝별 '밀물'
가까스로 저녁에서야 두 척의 배가 미끄러지듯 항구에 닻을 내린다 벗은 두 배가 나란히 누워 서로의 상처에 손을 대며 무사하구나 다행이야 응,바다가 잠잠해서 정끝별(1964- )의 '밀물' 이런
www.joongang.co.kr
[시가있는 아침] 정끝별 '밀물'
중앙일보
입력 2001.05.17 00:00
가까스로 저녁에서야
두 척의 배가
미끄러지듯 항구에 닻을 내린다
벗은 두 배가
나란히 누워
서로의 상처에 손을 대며
무사하구나 다행이야
응,바다가 잠잠해서
정끝별(1964- )의 '밀물'
이런 풍경이 도처에 가득하다면 세상은 태평성대와 다름없으리라. 비아냥거리고 싶다는 뜻이 아니다. 아주 맛깔 나는 시다. 시의 뼈대와 그 울림이 만만치 않다. 여기서 '배'는 두 개가 겹쳐져 있다.
하나는 저녁에 항구에 닻을 내리는 배요, 나머지는 발가벗은 인간의 몸 아래쪽의 배다. 이 즐거운 언어유희를 일단 눈치챌 수 있어야 시가 눈에 들어올 것이다. 게다가 마지막 두 줄의 절대 긍정은 문맥을 잘 짚어볼 필요가 있다.
고난을 온몸으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서로를 이해할 수 없다. 진정한 사랑은, 사랑하는 대상의 배경까지도, 혹은 그 미움까지도 사랑하는 것이니까.
안도현(시인)
'현대시 > 한국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 밤이 오면 길 – 이성복 시인 (0) 2022.08.04 (시) 해질녘 / 채호기 시인 (0) 2022.08.04 (시) 묵화(墨畫) - 김종삼(1921-1984) 시인 (0) 2022.08.02 (시) 제주바다1 -문충성(1938-2018) 시인 (0) 2022.08.02 (시) 나뭇잎 뼈 - 강영환 시인 (0) 20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