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시아/베트남) 베트남 프로파일: (1) 개관
    국제문제/동남아 2014. 9. 18. 21:22

    출처: http://www.bbc.com/news/world-asia-pacific-16567315

    15 May 2014 Last updated at 10:44

    Vietnam profile 베트남 프로파일

    (1) Overview 개관




    Vietnam, a one-party Communist state, has one of south-east Asia's fastest-growing economies and has set its sights on becoming a developed nation by 2020. 공산당 1당 체제인 베트남은 南東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경제성장을 하는 나라들 중 하나이며, 2020년까지 선진국에 진입하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It became a unified country once more in 1975 when the armed forces of the Communist north seized the south. 北공산무장세력이 남쪽(사이공: 現호치민市)을 장악한 1975년 베트남이 통일되었다.

    This followed three decades of bitter wars, in which the Communists fought first against the colonial power France, then against South Vietnam and its US backers. In its latter stages, the conflict held the attention of the world. 통일은 세 차례의 피터지는 30년간의 전쟁을 치른 후였다. 첫번 째는 불란서 식민세력과의 전쟁이었고, 그 다음은 南베트남과 미국세력과의 전쟁이었다. 후자의 경우, 南베트남과 미국과의 전쟁은 전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The US joined the hostilities in order to stem the "domino effect" of successive countries falling to Communism. 미국은 (아시아의) 많은 나라들이 차례로 공산주의가 되는 "도미노 효과"를 저지하기 위해 끝까지 발악을 했다.

    The war produced heavy casualties on both sides, atrocities against civilians, and the indiscriminate destruction and contamination of much of the landscape. 이 전쟁으로 인해 양측의 많은 사상자, 민간인에 대한 잔악행위, 무차별적 파괴, 많은 자연경관의 오염을 발생시켰다.

    At a glance 한 눈에 보기

    Policeman stands guard with poster of ruling Communist party
    • Politics 정치: Vietnam is a one-party Communist state; it became unified in 1975 after three decades of war 베트남은 공산당 1당족재 국가임. 30년간의 내전이 끝나면서 1975년 남북이 통일됨.
    • Economy 경제: It is becoming a major manufacturing centre; it is the second biggest supplier of clothes to the US
    • International: Long running territorial dispute with China over parts of South China Sea, rich in oil and fish

    Country profiles compiled by BBC Monitoring

    A visit to Vietnam by US President Bill Clinton in November 2000 was presented as the culmination of American efforts to normalise relations with the former enemy. 이천년 11월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의 베트남 국빈방문은 이전 적국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려는 미국측이 보인 최선의 노력으로 보여짐.

    Vietnam struggled to find its feet after unification and tried at first to organise the agricultural economy along strict collectivist lines. 베트남은 통일이 된 후에 발을 딛기 위해 몸부림을 쳤고, 우선은 엄격한 집단주의 노선과 더불어 농업경제를 꾸리기 위해 애를 썼다.

    But elements of market forces and private enterprise were introduced from the late 1980s and a stock exchange opened in 2000. 그러다가 1980년대말부터 부분적으로 시장경제와 개인기업을 도입했으며, 2000년에는 증권거래소가 문을 열었다

    Foreign investment has grown and the US is Vietnam's main trading partner. In the cities, the consumer market is fuelled by the appetite of a young, middle class for electronic and luxury goods. After 12 years of negotiations the country joined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in January 2007. 외국투자가 성장하고 있으며, 미국이 베트남의 주요한 무역거래 파트너이다. 전자제품과 사치품을 좋아하는 젊은 사람들과 중산층의 입맛에 따라 소비자시장경제가 활항을 이루고 있다. 12년간의 협상 끝에 2007년1월 베트남은 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하였다. 

    But the disparity in wealth between urban and rural Vietnam is wide and some Communist Party leaders worry that too much economic liberalisation will weaken their power base.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농간의 부의불균형은 심각한 수준이며, 일부 베트남 공산당 지도자들은 너무 많은 경제적 자유주의는 자신들의 권력기반을 약화시킬지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Vietnam has also struggled to restrain its trade and budget deficits. Its inflation rate reached double digits at the start of 2010 and approached 20% by the end of 2011, as food prices doubled, before falling back in 2012. 베트남은 또한 거래와 재정적자를 억제하려고 무단히 애를 써왔다. 2012년초 베트남의 인플레이션은 2자리 숫자까지 도달했고, 2011년 말에는 2012년에 다시 떨어지기 전까지,주부식가격이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은) 20%까지 육박했다.

    Despite pursuing economic reform, the ruling Communist Party shows little willingness to give up its monopoly on political power. 경제개혁을 추구함에도 불구하고, 공산당은 정치적 권력의 독점을 포기하려는 마음은 별로 없다.

    Vietnam actively suppresses political dissent and religious freedom. Rights groups have singled out Hanoi's treatment of ethnic minority hill tribe people, collectively known as Montagnards. 베트남은 대놓고 정치적 반대자들과 종교자유을 억압하고 있다. 인권단체들은 산악인으로 알려진 소수민족인 산속 부족에 대한 하노이 당국이 어떻게 취급하는지 끄집어냈다

    The human rights advocacy group Amnesty International says in a 2011 report that ''more than a dozen activists were convicted in faulty trials simply because they had peacefully voiced criticism of government policies''. A new wave of subversion trials began in 2013. 인권옹호단체 국제 암네스티는 2011년도 보고서에서 "단지 평화적으로 정부정책을 비판했다는 이유만으로 결함 있는 재판에서 12명 이상의 인권운동가들이 유죄판결을 받았다고" 말한다. 2013년 새로운 움직임의 국가전복재판이 시작되었다.

    Vietnam is advancing rapidly in manufactur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oil production. However, millions of Vietnamese still depend on agriculture 베트남은 제조업, IT, 석유생산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수백만의 베트남인들은 여전히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


    **역자(밝은하늘)의 추가사항**

    1) 호치민(남)과 하노이(북)의 거리는 1,726 km (직선거리 1,145.94 km)다. 기차로 33시간, 비행기로 2시간. 

    2) 베트남은 불교국가 임에도, 가톨릭(전인구의 10%(?))이 막강하다. 

    3) 베트남의 가톨릭 순교자 117위는 1988년 6월19일 바티칸에서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아시아에서 제일 순교자 성인이 많은 나라다. 한국은 순교성인 103위(1984년 5월 서울 여의도에서 요한 바오로 교황가 시성)와 124위 순교복자 124위(금년 8월)가 있다.

    4) 현대 베트남어는 불란서 가톨릭 선교사가 기존의 베트남어(한자)의 발음을 불란서식 알파벳으로 표기하고 그 위에 성조(6개)를 덧붙여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5) 현대 베트남어는 한자어와 불어가 섞여 있으나, 개인적으로 볼 때는 한자어가 훨씬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예컨대, 베트남(영어로 Vietnam/베트남어로Việt Nam/중국어및 한자越南/한글로 월남 혹은 베트남), 사이공(西贡/서공), 호치민(영어로 Ho Chi Minh/한자로 胡志明/한글로 호지명), 하노이(Ha Noi/河内/하내)를 포함한 모든 지명은 다 한자(汉字)라고 보아도 무방하다고, 본인은 생각한다.

    6) 베트남은 20세기초까지도 김경일 교수의 주장처럼 "동아시아문명을 이해하는 열쇠"인 한문교육이 이어졌으나, 요즘 21세기 공교육에서 한문교육은 찾아볼 수 없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