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한국) 米여성운동가들 DMZ(비무장지대) 건너다국제문제/아시아 2015. 5. 26. 00:29
출처: http://www.bbc.com/news/world-asia-32863457
24 May 2015
Female activists cross demilitarized zone on Koreas' border 米여성 운동가들 DMZ 건너다
The BBC's Steve Evans reports on mixed reaction to the symbolic crossing 상징적 DMZ 건너기 행사에 대한 엇갈린 반응을 비비시의 스티브 에반스 보도하다
A group of 30 women activists have crossed the demilitarized zone (DMZ) separating North and South Korea in an attempt to promote peace. 30명의 여성 운동가들이 평화를 증진할 목적으로 남북한 사이에 있는 비무장지대(DMZ)를 건넜다.
Led by American feminist Gloria Steinem, the group rode by bus over the DMZ from the North to the South. 미국 여성 글로리아 스타이넴이 이끈 그룹은 버스를 타고 북에서 남으로 이동했다.
But they were prevented from walking on foot through the abandoned village of Panmunjom, where the 1953 armistice that ended the Korean war was signed. 그들은 본래 걸어서 판문점 평화의 마을을 통과할 계획이었으나 허용되지 않았다. 이 망르은 1953년 한국전이 종료되고 휴전이 되었을 때 만들어진 것이다.
The activists have faced criticism for spending several days in Pyongyang. 이 여성들은 평양에서 며칠을 보낸 것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다.
Critics said the women had allowed themselves to become propaganda tools by the North, after they refused to directly criticise the Pyongyang authorities over its human rights record. 비판적 입장에 있는 사람들은 이 여성들은 평양당국의 인권유린에 대해선 침묵한 후, 북한의 선전도구가 되었다고 비판했다.
The women were transported by bus through the DMZ despite their plans to walk through the zone 이 여성들은 비무장지대를 걸어서 통과할 계획이었지만, (정부의 승인이 안 떨어져) 버스로 통과했다.
She hailed the trip as a "triumph"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그녀는 이 여행이 평화와 화해를 위한 "승리"라고 환호했다.
"I'm so confident that once it is clear what we have experienced, these objections will go away," she told reporters after the group arrived on the South Korean side of the border. "일단 우리가 경험한 것이 확실해지면 이런 반대들은 사라질 것이라, 난 확신한다."고 그녀는 이 여성들이 남한쪽 국경에 도착했을 때 기자들에게 털어놨다.
Songs and banners 노래와 플래카드
The group had originally intended to walk through the "truce village" of Panmunjom, where North and South Korean soldiers are separated by several metres across the border. 이 여성들은 본래 판문점 "평화의 마을을 걸어서 건널 계획이었다. 이 마을은 몇 미터를 사이로 남한과 북한으로 갈라져 있는 곳이다.
But South Korea opposed the plan, sending a bus across the border to the North to fetch the women and transport them back over the border to the South. 남한정부가 이 계획을 반대했다. 그래서 국경에 버스를 보내 이 여성들은 태우고 남한쪽으로 올 수 있게 한 것이다.
The women sang and carried banners as they crossed the first checkpoint leading into the DMZ from North Korea. 이 여성들은 북한에서 비무장지대로 이동하는 길에 있는 첫번째 검문소를 통과할 때 노래를 부르며 플래카드를 지니고 있었다.
US activist Gloria Steinem (C) addressed the media after the group crossed over to the South 米활동가 글로리아 스타이넴(중앙)은 여성들이 모두 남한쪽으로 건너온 뒤에 언론에 소감을 전했다.
They said the purpose of the crossing was to express hope that Korean families separated in the war could one day be united again and military tensions between the two sides reduced. 이 여성들은 비무장지대를 건넌 것은 전쟁으로 갈라진 한반도의 가족들이 재결합되고 남북간의 군사적 긴장이 감소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뤄진 것이라 말했다.
But one North Korean defector, Dr Lee Ae-ran, told the BBC that the women were promoting Pyongyang's viewpoint that the US and South Korea were to blame for the division of Korea. 그러나 북한 귀순자 이애란 박사는 이 여성들은 미국과 남한이 한반도의 분단의 책임이 있다는 북한의 관점을 선전하고 있다고 비비시에 전했다.
"This is a so-called peace march but there is no peace here. [North Korea ruler] Kim Jong-un's nuclear ambitions and hostile acts towards the south prevents peace," she told the BBC's Stephen Evans in Seoul. 이번 행사는 소위 평화 행진이지만, 여기에는 평화가 없다. 김정은의 핵무기 야망과 남한에 대한 적대적 행위는 평화를 위협한다."고 그녀는 비비시의 스티븐 에반스에게 말했다.
As a child, Dr Lee Ae-ran endured eight years of abuse and terrible living conditions at a labour camp after she and her family were deemed "bad elements"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hen her grandparents defected to South Korea. 어린아이였을 때, 이애란 박사는 할아버지가 남한으로 귀순하자 북한당국에 의해 가족이 "반동분자"로 낙인찍힌 후 노동 수용소에서 보낸 8년간 끔찍한 생활조건을 견뎌야했다.
The activists who took part in Sunday's crossing included Nobel Peace Prize laureates Leymah Gbowee, from Liberia, and Mairead Maguire, from Northern Ireland. 노벨평화상 수상자 레이마 그보위(리베리아)와 마이리드 마귀르(북아일랜드)를 포함한 활동가들은 일요일의 비무장지대 건너기 행사에 참여했다.
The two Koreas remain technically at war in the wake of the 1950-53 Korean War, which ended in an armistice rather than a peace treaty. 남북한은 정확히 말해서 아직도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진행되었던 한국전의 연속선상에 있다. 한국전은 평화조약보단 휴전으로 끝났기 때문이다.
The heavily-fortified DMZ - one of the world's most militarized borders - separates them and ties remain tense. 지구상에서 가장 군사적 접경지대 중 하나인 비무장지대는 남북을 갈라놓고 있으며 양측을 긴장시키고 있다.
International talks aimed at ending Pyongyang's nuclear ambitions have been stalled since 2009. 북한의 핵야망을 종식시키려는 국제회담은 2009년 이후 지연되고 있다.
** 밝은 하늘의 번역 소감 **
1. 솔직히 이 여성들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난 썩 마음에 안 든다. 그 이유는 그들은 남이다.
2. 이 기사를 읽으면서, 다시금 한반도의 현재모습은 휴전상태라는 것이 깊이 와닿았다.
3. 평화협정(a peace treaty)이 아니고 휴전(armistice)상태라는 건, 언제든 다시 전쟁이 발발할 수 있다는 뜻 아닌가?
우리 모두 너무 태평한 거 아닌가? 란 생각을 지울 수 없고, 국가차원에서 개인차원에서 지금껏 이 문제에 대해
무엇을 해왔나?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국제문제 > 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시아/인도) 인도 마을사람들 마법 행한 여인 참수 (0) 2015.07.22 (아시아/미안마) 아웅산 수지 여사 중국 방문 (0) 2015.06.10 (아시아/싱가폴/동영상) 싱가폴 소년 아모스 이가 YouTube에 올린 문제의 동영상 (0) 2015.05.13 (아시아/싱가폴) 싱가폴 16세 소년 아모스 이 겁 없이 故이광요 수상을 비판 (0) 2015.05.13 (아시아/북한) 북한 잠수함 탑재 미사일 시험발사하다 (0) 201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