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인도) 인도여성들의 멀고 어둡고 위험한 화장실 가는 길국제문제/아시아 2014. 6. 27. 23:58
출처: http://www.bbc.com/news/magazine-28039513
26 June 2014 Last updated at 23:00
India's long, dark and dangerous walk to the toilet 인도여성들의 멀고 어둡고 위험한 화장실 가는 길
The danger faced by women going to the toilet outdoors in rural India was made clear last month when two girls were ambushed, gang-raped and hanged from a tree. But defecation outside is normal for most Indian villagers - so how do they manage? 인도 시골지역에서 여성들이 집밖 화장실을 가면서 만나게 되는 위험은 지난 달 두 여자애들이 숨어있던 남자들에게 습격당해, 윤간당하고, 나무에 매달렸다. 그러나 집밖 용변은 많은 인도마을 사람들에게 일상적인 일인데, 어떻게 그들은 용변을 집밖에서 보고 있는가?
Less than 50 miles from India's capital Delhi, in a village called Kurmaali the women walk out to the fields twice a day - at the crack of dawn and the onset of dusk. 인도의 수도 델리에서 50 마일 남짓 떨어진 쿠르마아릴리 마을에서 여자들은 하루에 두 번 야외로 나간다. 동이 트기 직전과 해가 진 무렵이다.
The fields are the only toilet most of them have ever known. only 30 of the 300 homes in the village have their own private facilities, and none have drainage. 야외 들판은 대부분의 여자들이 알고 있는 유일한 화장실이다. 300 가구 중에 단지 30 가구만 집 안에 개인 시설(화장실 등)을 갖추고 있으나 따로 배수시설은 없다.
They walk out together, in groups, for safety. It takes about 15 minutes. Then they separate and space out for a little privacy. 여자들은 안전 땜에 무리지어 같이 걸어나간다. 화장실까진 약 15분 걸린다. 그리곤 각자 흩어져 개인적으로 볼일 볼 곳을 찾아 공간을 만는다.
Kailash, aged 38, wakes her three daughters up at 04:00 every morning. Each takes a bottle of water, and they set off. 카이라쉬 (38세)는 매일 새벽 4시에 세 딸을 깨운다. 애들은 각자 물병을 들고 엄마를 따라 나선다.
"We always go in groups. I would never let my girls go on their own," Kailash says. "우리는 늘 무리지어 가요. 저는 단 한 번도 애들끼리 가도록 하지 않았어요."라고 카일라쉬는 말한다.
Her youngest daughter, 18-year-old Sonu, adds: "We go straight to the toilet and back. Never deviate. Never go alone. And if we see a boy, we shout at him." 18살 막내딸 소누는 더불어 말한다. "우린 곧장 화장실에 갔다가 돌아와요. 결코 딴데 가지 않아요. 결코 혼자 가지도 않아요. 그리고 남자애를 만나면, 그애에게 소리질러요."
It is important to tread carefully. once the crops are cut and the fields are bare the whole ground space is open for anyone to use. It's literally like an open toilet. 조심스럽게 땅바닥을 밟는 게 중요하다. 일단 풀이 꺽여서 들판이 납작해지면 전체 바닥 공간이 생겨 볼일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말 그대로 열린 화장실이다.
During sowing and harvesting, the fields are out of bounds. Then one has to walk for another 15 minutes, to an uncultivated area. The exercise that normally takes 45 minutes to an hour stretches to an hour and 15 minutes, or more. 파종기와 수확기 동안 들판은 출입금지 구역이 된다. 이 때는 다시 15분을 더 걸어 경작하지 않는 곳을 찾아 가야 한다. 보통 이렇게 화장실을 찾아 가는 길은 45분에서 75분까지 걸리는데, 그 이상 걸릴 때도 있다.
Darkness gives the women cover, and a degree of privacy, which is very important to them, but it in some ways it makes them more vulnerable. They are keen to get the process over as quickly as possible. 어둠은 여자들에게 차단막과 프라이버시를 가져다 주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하긴 하지만, 다른 면으론 여자들을 무력한 존재가 되게 하기도 한다. 해서 여자들은 가능하면 빨리 볼일 보는 일을 마치려고 한다.
The unspoken rule is that the men go to the toilet only at dawn, but boys sometimes break this rule, in order to harass or molest members of the opposite sex. The women tell stories of catcalling, and groping - though will never admit that has happened to them, only to others. 이곳의 불문률은 남자들은 동이 튼 후 화장실에 가야하지만, 남자아이들 일부는 여자애를 성추행이나 성폭행 하려고 이 규칙을 어기는 일도 왕왕 발생한다. 여자들은 자기들한테 일어나진 않았지만 다른 여자들한테 일어났던, 남자애들이 야유를 보내고 여자의 몸을 더듬었던 얘기들을 한다.
Sonu's advice, if a boy appears? "Always be aggressive." 남자애가 나타날 때, 소누의 충고는 "늘 터프하게 대하세요!"이다.
Her elder sister Seema says she would not shy from giving the boys a slap if they dared touch her sisters. 그녀의 첫째 언니 시마는 남자애들이 자기 여동생들의 몸에 손이라도 대기만하면 귀싸대기를 날릴 정도로 터프하다고 말한다.
The group tells a story about one woman from the village who foolishly went to the fields alone, and suddenly found herself illuminated by the lights of a passing lorry. The lorry stopped, and the driver got out. The woman was forced to run for safety. 이 여자들은 한 여자가 바보같이 혼자 들판에 볼일 보러 갔다가 갑자기 지나가던 트럭 불빛이 자신을 비추었는데, 그 트럭이 순간 멈추고 기사가 내리자, 죽을 힘을 다해 도망쳤던 적이 있었다고 얘기해준다.
The mother of one of the girls found hanged in Uttar Pradesh confided to me that she always accompanied her daughter to the fields but this one time she had let them go alone - a decision she said she'd always regret. 우타르 프라데쉬에서 목을 매단 소녀들 중 한 소녀의 어머니는 자신의 딸들을 들판까지 항상 따라가곤 했었는데 그 날만큼은 딸들만 보냈다고 한다. 이 결정을 그녀는 항상 후회하고 있다.
No toilet paper is ever used in the village, only water, though after returning from the fields, the women usually have a proper wash with soap. 이 마을에선 화장지를 한 번도 사용하지 않고 물을 쓴다.들판에서 돌아온 뒤에야, 여자들은 비누로 제대로 씻는다.
Then there is a long wait until the next trip to the open-air toilet after darkness falls in the evening, some 14 or 15 hours later. 밤이 내린 후 다음 화장실 갈 때까지 14시간이나 15시간이나 되는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The women have no choice but to contain any desire to urinate or defecate, if necessary for hours on end. 여성들은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으므로오줌을 누거나 똥을 누고 싶어도 몇 시간이고 계속해서 참는 수 밖에 없다.
But last year Sonu fell sick with an upset stomach. 그런데 작년에 소누가 배탈이 난 적이 있다.
"She needed a toilet urgently, so, I filled water in a bottle and took her to the fields during daytime," says Kailash. "I stayed with her for three hours. I spread a sheet under a tree, so she could rest every few minutes, we had to stay till she felt that she wouldn't need to go to the toilet anymore." "딸애는 급히 화장실이 필요했죠. 그래서 저는 병에 물을 채워서 낮에 들로 그 애를 데리고 나갔어요."라고 엄마는 말한다. "저는 무려 3시간을 딸과 함께 있었어요. 저는 나무 아래 종이를 펼쳤어요. 그래서 딸애가 몇 분 간 거기서 쉴 수 있었죠. 우리는 딸애가 더 이상 화장실에 갈 필요가 없을 때까지 거기에 있어야 했어요." 엄마는 계속 말한다.
They don't like to talk about it, but the women of Kurmaali eventually admit that in cases of emergency, children or elderly people may use a kind of toilet pan inside the house. It's hard for them to disinfect it though, so after a few days it begins to smell and has to be thrown away. They make clear how disgusting they find this topic. 모녀는 이 일에 대해 얘기하는 걸 싫어한다. 그러나 쿨마아리 마을 여자들은 급한 경우엔 아이들이나 노인들이 집에 있는 요강 같은 걸 이용한다고 결국 시인한다.
In fact, many think of open-air toilets as the natural way of defecation. 사실상, 많은 사람들은 야외 화장실은 배변의 자연방식이라 생각한다.
Seema, Kailash's eldest daughter, spent a few years at a boarding school, which had an enclosed private toilet. She quickly became accustomed to it, but nonetheless regards this kind of toilet as a necessity born out of modern living. 카일라쉬의 맏딸 시마는 기숙학교에서 몇 년을 보냈다. 이 학교에는 칸막이가 있는 개인화장실이 있었다. 그녀는 이런 학교 화장실에 적응이 되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이런 종류의 학교 화장실은 현대 생활에서 생겨난 필요한 것으로 여긴다.
"Our school and hostel were in big buildings, there were no fields around them, so they had to build toilets," she says. "우리 학교와 기숙사는 큰 건물 안에 있어요. 거기에는 주변에는 들판이 따로 없어요. 그래서 학교당국에선 화장실을 만들어야 했지요."라고 그녀는 말한다.
At the only school in Kurmaali itself, for some 300 day pupils, I found two toilets but they were clearly not in use. one had no door, the other was full of bricks and other rubbish. 300 여명의 등학교 학생들을 수용하는 쿠르마알리의 유일한 학교에 가봤더니, 나는 두 개의 화장실이 있었는데,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화장실 하나는 문이 없었고, 다른 하나는 벽돌과 기타 쓰레기들이 차있었다.
When I asked one of the school governors why this was, he questioned why anyone would need a toilet. The school was right next to the fields, he pointed out. This infuriated the women accompanying me. The boys might be able to use the fields in daylight, they pointed out, but not the girls. 내가 화장실이 왜 이런지 학교 당국에 물어보니, 그 사람은 도리어 왜 화장실이 필요하냐고 물었다. 학교 바로 옆에 들판이 있지 않냐고, 그는 지적했다. 이는 나를 따랐던 여자애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 남자애들은 낮시간 들판에 가서 볼일을 볼 수 있으나, 여자애들은 그렇지 않다고, 여자애들은 지적했다.
Deadly cost 값비싼 댓가
- In May, two teenage girls in the northern state of Uttar Pradesh were gang-raped and hanged from a tree while going to the toilet outdoors 5월 우타르 프라데쉬州 북쪽지방에서 두 명의 십대 여학생들이 야외 화장실을 찾아 가던 중에 윤간당하고 나무에 매달렸다.
- The crime prompted protests against state government (pictured) and claims that police officers refused to search for victims 이 범죄는 사람들로 하여금 주정부에 항의(바로 위의 사진)를 하게 만들었고, 경찰들이 희생자를 찾는 걸 거부했다고 주장한다.
- A senior police official in Bihar claimed in 2013 that more than 400 rapes in the state would have been avoided if victims had had home sanitation 비하르의 경찰간부는 2013년에 자신의 州에서 발생한 400건 이상의 강간사례가 집에 위생시설만 있었어도 얼마든지 피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Most of the men in the village work as daily labourers, or drivers. A few work in the fields. one of the few that has a private toilet is Santraj, a mason, who lives next door to Kailash. 마을 남자들 대부분은 일용직 노동자나 운전사로 일한다. 일부는 들판에서 일한다. 집에 화장실을 갖고 있는 극소수 중 한 사람 산트라는 카일라수 옆집에 사는 석수이다.
He built it eight years ago, at a cost of 10,000 rupees (£100), double the village's average monthly wage. The toilet sits on top of two 10ft-deep pits, which drain in such a way, he says, that there is no foul smell. The pits will need to be emptied one day, but should last 10 years. 그는 10,000 루피(마을 평균 한 달 임금의 두 배)를 투자하여 8년 전에 화장실을 지었다. 화장실은 10피트 높이 구덩이 위에 있는데, 이 구덩이는 배수가 된다. 역겨운 냄새도 안 난다. 구덩이는 나중에 비울 것이다. 한 10년은 갈 것이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But why have Santraj and a few others got a toilet when the vast majority of the villagers have not? 그런데 샨트라와 다른 사람들은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이 갖고 있지 않은 화장실을 갖고 있는가?
He says it's because he has only four children, while most families have at least half a dozen to support. 그 이유는, 대부분의 가정이 부양해야 할 자녀들이 최소한 6명은 되는데, 그는 단지 4명의 아이들만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말한다.
Also, he points out, the lack of a toilet doesn't usually bother men. 아울러, 화장실의 부족은 대개 남자들에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Men can go anywhere, any time," he says. "It is only the women who need protection and cover." "남자들은 언제든지 어디라도 갈 수 있어요."라고 그는 말한다. "보호와 가림막이 필요한 건 오직 여자들뿐이죠."
Even in the cities, it is common to see men in India urinating in public against a wall. 도시에서 조차 인도 남자들은 사람들이 있는 데서도 벽에 오줌 누는 장면을 흔히 볼 수 있다.
In Kurmaali it is interesting to note how the families spend their limited incomes. 쿠르마알리 마을에서 가구들이 적은 월급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지켜보는 건 자못 흥미롭기까지 하다.
The streets are dotted with motorbikes and the occasional car, luxury items mostly acquired as part of a dowry. 길에는 오토바이이 많이 다니고 때로 자동차가 다닌다. 이 자동차는 일종의 신부지참금으로 가장 인기가 좋은 비싼 물품이다.
Kailash's dowry did not include a motorbike, but her husband has purchased a television set and a satellite dish - even though the electricity comes on for four hours every day at most. 카일라쉬의 지참금에는 오토바이가 포함되지 않았다, 그녀의 남편은 텔레비젼과 위성안테나(하루에 전기는 많아야 4시간 들어옴)를 구입했다.
He could probably have afforded a toilet, with the help of a government grant available for this purpose. But while Kailash's husband treats his wife well, doesn't drink alcohol or abuse her physically, a toilet was not his priority. 그는 어쩌면 정부의 보조를 받으면 화장실을 지을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카일라쉬의 남편은 와이프를 잘 대우하고, 술도 안 마시고 때리지도 않지만, 여전히 화장실은 최우선 순위는 아니었다.
"Toilets are not so important for men," Kailash says. "화장실은 남자들에게는 별로 안 중요해요."라고 카일라쉬는 말한다.
"And I can't throw a tantrum about this, women don't do that here." "그렇다고 이 문제로 짜증를 낼 순 없어요. 여자들은 이곳에서 그렇게 하지 않아요."
'국제문제 > 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시아/남중국) 남중국을 뒤흔든 괴물 태풍 (0) 2014.07.21 (아시아/일본) 스마트폰 때문에 제대로 걷기 힘든 시대로 접어든 일본 (0) 2014.07.15 (아시아/한국) (워싱턴포스트) 삼성은 한국이 거둔 최고의 성공이지만, 문제는 ... (0) 2014.06.26 (아시아/터키) 터키 생존하고 있는 1980년 쿠데타 주도세력 무기징역 선고 (0) 2014.06.21 (아시아/북한) 북한 크루즈 미사엘 개발 (0) 2014.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