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펌>“글자에 갇힌 하느님? 이야기꾼 하느님!”
    아름다운 인생/종교 2010. 11. 24. 18:38

     

    “글자에 갇힌 하느님? 이야기꾼 하느님!”
    -대만 장영대 송천성 석좌교수 초청 좌담회
    2010년 11월 24일 (수) 16:27:54 고동주 기자 godongsori@nahnews.net

    대만 장영대학교의 송천성 석좌교수가 한국을 찾아와 ‘이야기신학’에 대해 그와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마련됐다. 이 모임은 한국민중신학회, 우리신학연구소,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가 공동 주최했다.

       
    ▲ 사진/ 고동주 기자

    송 교수는 많은 아시아 신학자들이 서구 신학의 방법론에 사로잡혀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서구 신학이 성서 가운데서 (하느님의) ‘이야기’를 빼버리고 사상이나 관념, 본문만 남겨놓았다고 비판한다. 그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바라볼 때 ‘약속과 성취’라는 고정된 패러다임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현재의 팔레스타인 상황과 동떨어진 신학을 하고 있다”며 예를 든다. 그래서 “사회학적으로 볼 때 현실에서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동정을 표하면서도 신학적으로는 이스라엘을 옹호하는 균열에 처해있다”는 것이다.

    서구 신학은 실제적인 삶의 경험과 믿음 사이에 커다란 균열을 가져온다고 송 교수는 거듭 비판했다. “에덴동산에서 나올 때 하느님은 처벌로서 여자에게 산통을 주셨다고 하지만, 실제 산모들에게 산통을 하느님의 처벌로 느끼는지를 물어보면, 대부분이 그렇게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송 교수는 본문을 해부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야기로서 성경을 읽어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구 신학의 본문 비평에 대해 송 교수는 “해부학자가 시체보관소에서 시체를 해부했다가 다시 원래대로 꿰매는 것”으로 비유한다. 본문 비평을 통해 분석된 성경은 시체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 대만 장영대학교 송천성 석좌교수 (사진/ 고동주 기자)
    이야기로서 살아있는 성경을 읽기 위해서 송 교수는 첫째 성경을 고고학적으로 읽을 것을 제시한다. 고고학 발굴에서는 유물을 발견할 때 무엇이든지 그 자리에 그대로 두도록 한다. 성경 역시 그 이야기의 시대와 목적과 기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원래의 위치에서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성경을 인류학적으로 읽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송 교수는 “이야기는 인간이 가장 중심이 된다는 사실을 망각해왔다”고 지적한다. 그는 성경의 이야기 역시 마찬가지라서 “처음부터 신적인 이야기로 읽힌다면, 매우 거창하거나 시시할 것”이라며 예외를 둘 수 없다고 말한다.

    셋째는 특정한 역사적 상황이 특정한 이야기를 창조한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읽어야 한다고 말한다. 역사는 관념이나 개념이 아니라 개별적인 인물들, 개별적인 장소, 개별적인 시간에서의 사건의 연속이다. 창세기 12장 1절은 아브라함이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기 위해서 자신의 고향을 떠났다고 신학자들이 강조하는 본문이다. 그러나 송 교수는 “왜 아브라함이 가나안에 가려고 메소포타미아를 떠났는지에 대한 역사적, 개인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전혀 의심이 없다”는 것을 지적한다.

    넷째는 성경을 문화적으로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송 교수는 “이것은 아시아에 속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특별히 강조한다. 서구 기독교 문화를 기본 전제로 성경을 이해할 때 서구와 다른 문화를 가진 아시아에서 성경은 죽은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

    다섯째 이야기는 동시대와의 관련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송 교수는 성경이 현재에 어떤 메시지를 전하는지 읽어내야 한다고 말한다. 송 교수는 동시대와의 관련하지 않고 성경을 전하는 것에 대해 “삶의 의미를 갈구하는 사람들에게 성경을 페스트푸드로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송 교수는 위의 노력을 기울이면서 이야기를 종교적으로 읽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왜 이것이 우주에 있습니까? 어떻게 시작되었습니까? 언제 이것이 태어납니까? 왜 나에게 일어납니까? 왜 다른 사람들이 있습니까? 세상에 왜 악이 존재합니까?” 이러한 질문들은 ‘본문’에 갇혀서는 알 수 없고 이야기로서 답을 얻을 수 있다고 송 교수는 말한다.

    송 교수는 한국의 초기 민중신학자들이 지배자들의 ‘본문’에 대항하여 민중의 ‘이야기’를 한 것은 정당했으나 그 이야기를 신학적 결론까지 끌고 가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했다. 송 교수는 “아시아에 기독교가 전파되기 전에도 하느님이 계셨다면 전통의 옛 이야기들을 통해 하느님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며 한국의 신학자들도 한국의 이야기에서 하느님을 발견하는 작업을 계속하기를 촉구했다.

    논평에 나선 죽재서남동기념사업회 김용복 이사장(전 한일장신대 총장)은 신학적 방법론으로서의 ‘이야기’가 잘못 쓰이는 경우를 지적했다. “여호수아가 가나안 땅을 정복할 때의 이야기를 미국 사람들이 아메리카 원주민을 정복할 때,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정복할 때에도 사용됐다”는 것이다. 그래서 김 이사장은 민중이 주체가 되고 해방적인 ‘이야기’가 전제돼야 한다는 것을 짚어 말했다.

    이화여대의 서광선 명예교수(전 한국민중신학회 회장)는 송 교수의 강연 중에서 “성경이 서구신학에 노예가 되고 있어서, 해방을 시키려면 성서 속에 있는 이야기들을 끄집어내서 우리가 신학을 해야한다”는 말을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뽑았다. 아울러 “우리도 경주의 에밀레종 이야기처럼 옛날 얘기, 속담 등에서부터 시작해 우리의 이야기신학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송천성 박사는 대만에서 철학으로 학부를 졸업했다. 그리고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신학을 공부, 마지막에는 뉴욕의 유니언 신학교에서 박사가 됐다. 그는 ‘이야기’를 통해 소수자·민중들의 신학 담론에 관한 논의를 발전시켜왔다.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http://www.nahnews.net>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