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論語 爲政 2-8 / 온화한 안색동양고전/논어 2009. 5. 10. 19:54
論語 爲政 2-8
The Analects Weizheng 2-8
子夏(자하) 問孝(문효). 子曰(자왈), 色難(난색). 有事(유사), 弟子服其勞(제자복기로). 有酒食(유주사), 先生饌(선생찬), 曾是以爲孝乎(증시이위효호).
*食: 밥의 뜻일 때는 '식'이라 읽지 않고 '사'라고 읽음.
When Zi-xia asked about filial piety, the Master said, "Facial expression is most difficult. When there are chores(=small and insignificant works), the young peoples render(=offer) their services; when there is wine and food, the seniors drink and eat. Can this alone be considered filial piety?"
자하가 효를 묻자, 자왈, 온화한 안색으로 섬기기가 어려운 것이니, 일이 있으면 젊은이가 그 수고를 대신 맡고, 술과 밥이 있으면 부모가 잡숫게 하는 것을 곧 효라 할 수 있겠는가?
참고:
1) <4國語對譯 論語>
2) 미당 이동윤 선생, <논어 강의록>
3) Translated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Raymond Dawson, <CONFUCIUS THE ANALECTS>, Oxford University Press.
4) Translation and Notes by Simon Leys, <The Analcets of Confusius>, W.W. Norton & Company.
---------------
온화한 안색/밝은하늘
온화한 안색으로 부모와 식구들을 늘 대하는 것, 온화한 안색으로 가까운 사람들을 항상 대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온화한 안색으로 사람들을 대하려면 몸상태부터 정신상태까지 일정한 평정의 상태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당장 몸이 피곤하면 짜증부터 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평범한 사람이기 때문에 늘 평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다만 노력할 뿐이다.
'동양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語 爲政 2-10 / 사람을 알아보는 법 (0) 2009.05.12 論語 爲政 2-9 / 사생활 (0) 2009.05.11 論語 爲政 2-7 / 진짜와 가짜의 차이 (0) 2009.05.09 論語 爲政 2-6 / 효의 제일 기본은 건강 (0) 2009.05.05 論語 爲政 2-5 / 아랫사람의 도리와 윗사람의 도리는 결국 만난다 (0) 2009.05.01